순간접착제, 강력본드 등 접착제에도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이런 본드가 옷이나 손, 가구 등에 묻었을 때 어떻게 제거하면 깨끗하게 그리고 다치지 않을 수 있을까요?
본드 제거방법, 강력본드 제거방법 등 접착제별, 부위별 제거방법을 소개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여러가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접착력이 강력하면 강력할수록 떼어낼 때 힘들거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의 대처법입니다.
순간접착제, 강력본드 등 접착제는 기본적으로 내구성이 강하게 개발된 제품이랑 그렇게 쉽게 떼어내지진 않습니다. 하지만 꼭 떼어내야할 필요가 있다거나 손에 묻거나 했을 때 덜 상하게 떼어내는 방법 소개합니다.
본드 제거방법, 강력본드 제거방법
기계적 제거
: 접착부분을 자르거나 뜯어내는 등의 방법
화학적 제거
: 신나 등 화학약품을 사용해 제거하는 방법
물리적 제거
: 가열에 의해 접착제를 열화시키거나 부드럽게 해서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열법, 온수법, 저온박리법, 침수법등이 있다.
피부나 손에 본드가 묻었을 때
약간 뜨겁다 느껴지는 물에 약 15분 이상 담궜다가 떼어낸다. 만약 이 방법으로 떨어지지 않는다면 신나, 벤젠, 등유, 아세톤 등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피부가 상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에폭시계 접착제인 경우 : 뜨거운 물과 비누를 사용해 제거한다.
수성계 접착제인 경우 : 약용알콜이나 벤젠과 물로 가볍게 닦아낸 후 비누와 물로 바로 씻어낸 후 핸드크림을 발라주는 것이 좋다.
순간접착제인 경우 : 뜨거운 물에 넣고 조물조물 주무리다가 아세톤을 이용해 제거한다.
바로 떼어낼 필요가 없고 피부를 생각한다면 3,4일 정도 샤워하거나 뜨거운 물에 불리는 일을 반복하면 대부분이 자연스럽게 제거됩니다.
옷에 본드가 묻었을 때
피부에 묻었을 때와 마찬가지이다. 알콜이나 벤젠 등을 면봉을 사용해 가능한한 접착제가 묻은 부분에만 바르는 것이 좋다.
접착제가 녹으면서 옷에 얼룩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접착제별 제거방법
풀 : 마르기 전에 물, 따뜻한 물로 씻는다.
수용성 접착제 : 마르기 전에는 물이나 젖은 천으로 닦아낸다. 마르고 난 후라면 따뜻한 물에 담궈 부드러워진 후 비비면서 제거한다.
에폭시수지, 합성고무계 접착제 : 마르기 전에는 벤젠이나 도료희석액 등을 묻힌 천으로 닦아낸다. 마르고 난 후에는 나이프나 야스리 등으로 떼어내야 한다.
순간접착제 : 마르기 전에는 전용제거액이나 아세톤을 적신 천으로 닦아낸다. 마르고 난 후에는 나이프 등으로 떼어낸다. 천에 묻은 경우는 기본적으로는 떼어내기 힘들다.
탄성접착제 : 마르기 전에는 도료희석액을 묻힌 천으로 닦아낸다. 마르고 난 후에는 나이프 등으로 제거하고 남은 흔적은 도료희석으로 비벼서 제거한다.
본드 제거방법, 강력본드 제거방법 등 접착제별, 부위별 제거방법 확인해 보셨는데요, 피부에 묻었을 때 무리해서 떼어내려하면 피부가 상할 수 있으니 따뜻한 물에 반복해서 불려서 제거하고, 옷 등에 묻었을 때는 떼어낸다해도 원래대로 돌아오기 힘드니 꼭 주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