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하고 싶지만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거나 하는 여러 이유로도 선택할 수 있는 헌혈봉사
헌혈 봉사시간 적용 방법 및 헌혈 자격 소개드립니다.
저는 태어나서 딱 한번 헌혈을 했는데요, 그 후로는 빈혈이 심해서 남의 피를 수혈 받은 적도 몇번 있습니다. 이렇게 피를 나눠주는 분들께 감사 인사를 전합니다. ^^
헌혈 봉사시간 적용 방법 으로는 먼저 사회복지 자원봉사 인증관리 라는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로 들어가면 우선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상단의 자원봉사인증 클릭하면 오른쪽 아래칸에 헌혈실적조회안내가 뜨므로 이것을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헌혈실적 조회하기 클릭하면 됩니다.
다만 이 조회는 로그인을 해야만 확인이 가능하므로 미리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하고 진행하시면 더 원활하겠습니다.
자원봉사자를 체크하고 아이디와 비번을 입력후 로그인 합니다.
자원봉사자 개인에 따라 총 봉사시간 등도 함께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헌혈은 한번 하게 되면 4시간 자원봉사로 인정을 받게 되면 2010년 7월1일 이후 헌혈한 것만 헌혈 봉사시간 적용 된다고 합니다.
헌혈은 하고 싶다고 다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남에게 내 피를 제공할 수 있을 만큼의 건강한 신체가 필요하게 되는데요, 헌혈 자격 요건 소개드리겠습니다.
헌혈 자격
나이 : 만 16~69세, 혈장성분헌혈 만17세~69세, 혈소판성분/혈소판혈장성분헌혈 : 만17세~59세
체중 : 남자 50kg/여자 45kg 이상
건강진단 : 혈압은 수축기 90~179, 이완기 100미만, 37.5이하 체온, 1분에 50~100회 맥박
헌혈간격 : 지난 헌혈에서 2개월 경과, 혈장성분/혈소판성분/혈소판혈장성분헌혈은 14일 경과 후
헌혈횟수 : 과거1년 이내에 전혈헌혈횟수 5회, 혈소판성분/혈소판혈장성분헌혈 24회
약물 : 건선치료제 복용 후 3년 경과, 전립선비대증치료제 복용 후 1개월 또는 6개월 경과, 남성 탈모증 치료제 복용후 1개월경과, 여드름 치료제 복용 후 1개월경과 등
외국여행은 귀국후 1개월 경과
감염병 완치 후 일정기간, 기탄 질병 완치 후 일정기간 경과
이외에도 임신, 분만, 유산은 6개월 경과, 수혈 후 1년 경과 등의 여러 헌혈 자격 기준이 있게 됩니다.
헌혈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본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이 대표적이며 공공기관 및 법인 등이 발급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지참하고 가까운 헌혈 장소로 가시면 됩니다.
고등학생인 경우는 사진이 있는 학생증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고귀한 봉사가 되는 헌혈 봉사시간 적용 및 헌혈 자격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빈혈에 건선 때문에 자격조건에 부합되지 못하는 건강하지 못한 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