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되는이야기

어린이 가성난시, 난시, 근시, 원시, 사시, 약시 차이점

by 후와링 2017. 8. 3.

 

난시,근시,원시,약시

뉴스를 보니 송일국씨 아들 삼둥이 중 둘이 안경을 쓰게 되었더라구요. 

대한이는 약시여서 평생 안경을 써야 한다는데  이렇게 어린 나이부터 안경을 써야 할 약시가 뭔지 궁금해지네요. 

저는 난시인데 어른인 저는 그렇다치고 어린이 가성난시, 난시, 근시, 원시, 사시, 약시 차이점 살펴보고자 합니다. 

특히 가성난시와 난시의 차이점이 무엇인지도 궁금해지네요. 



어린이 가성난시, 난시, 근시, 원시, 사시, 약시 차이점 


어린이 가성난시

가성난시란 조절을 관장하는 모양근이 긴장에 약한 근시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치료로 정상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있어서 가성근시라 부른다. 


난시

각막은 그 정점을 중심으로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커브를 그리고 있다. 

균일하지 않고 방향에 따라 그 커브각도가 다르면 빛의 촛점은 두개로 나뉘게 되는 이것이 난시이다. 

증상은 사물이 이중으로 보이고 시력이 좋지 않다. 



근시

굴절이상의 한종류로 먼곳에서 들어온 빛이 망막보다 앞쪽에서 영상을 연결해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는 상태이다. 

근시는 각막에서 망막까지 길이가 정상보다 너무 길거나 각막, 수정체의 빛 굴절력이 너무 세서 발생한다고 한다. 

하지만 그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유전적인 요소와 환경이 원인 중 하나일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부모가 근시인 경우 자녀가 근시가 될 가능성은 비교적 높다. 

난시,근시,원시,약시

원시

조절하지 않는 상태에서 평행광선이 망막보다 뒤에서 촛점을 맺는 상태이다. 

먼 곳에 있는 것도, 가까운 데 있는 것도 분명하고 확실하게 못 본다. 

따라서 항상 모양체가 긴장되어 있어 수정체를 두껍게 한 상태를 유지해야만한다. 

이때문에 눈의 피로가 심하고 조절을 못하는 경우에는 사물이 흐릿하게 보인다. 

특히 가까운 것을 볼 때는 보다 강한 조절이 필요해진다. 



사시

사시는 약시의 원인이 된다. 

좌우 양쪽은 항상 연동해 움직이고 사물을 볼 때는 거기에 양쪽 시선이 향한다. 

이것이 제대로 되지 않고 좌우 시선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사시라고 한다. 

사시는 한쪽 눈으로 사물을 보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한쪽 눈 시력이 약해지면서 약시가 된다. 

양쪽 눈 시선을 맞추려하는 뇌 기능이 나쁜 경우와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에 원인이 있는 경우, 원시 영향으로 심한 굴절조절이 필요한 경우는 내사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약시

영유아의 시력발육단계에 어떤 이유로 망막에 분명한 상이 찍히질 않고 자극이 더해지지 않아 시력이 발달되지 못하는 상태이다. 



사람의 시력은 10세 전후까지 증가할 가능성은 있습니다. 

하지만 1~3살이전의 증가비율에 비해 그 이후는 극히 적습니다.

012


사람몸이 천냥이면 눈이 구백냥이라는 옛말이 있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눈 검사를 게을리하지말고, 문제가 있다면 빠른 시기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어린이 가성난시, 난시, 근시, 원시, 사시, 약시 차이점 간단하게 살펴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각각의 증상과 치료방법 등을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