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를 괴롭히는 여러 피부질환들
습진, 아토피, 접촉성피부염 등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피부질환과 특징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피부질환 종류 먼저 쭉 훑어 보겠습니다.
습진, 아토피, 접촉성피부염 외에도 지루성피부염, 땀띠, 벌레 물림, 피부소양 외에도 더 심하게 가면 건선 등도 볼 수 있습니다.
그중 몇몇 대표적인 습진, 아토피, 접촉성피부염 등 피부질환과 특징 어떤 것이 있을까요?
* 벌레 물림
특징 : 흡혈성 모기, 벼룩, 진드기, 벌, 거미, 개미 등 여러 벌레들에게 물려 피부에 염증을 일으킵니다.
증상 : 모기, 벼룩, 진드기 등에 물린 경우에는 가려움을 동반하면서 빨갛게 도돌도돌한 것이 올라옵니다.
벌, 거미, 개미 등 독을 가진 벌레에게 물렸을 때는 통증이 느껴지면서 붓기도 합니다.
치료 : 스테로이드외용제를 바르면 서서히 좋아집니다. 통증이 있고 심하게 부어오르는 경우에는 의사의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대책으로는 피부 노출을 피하고 방충스프레이 등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접촉성피부염
특징 : 자극이 강한 것을 만지거나 접촉하는 것으로 발생하는 일차 자극성 접촉피부염과 알레르기로 인해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이 있습니다.
증상 : 가려워지면서 점점 벌겋게 변합니다. 작은 돌기나 물집이 잡히기도 합니다.
원인 : 스킨, 의류, 금속제품, 피혁제품, 고무제품, 세제, 의약품, 샴푸, 식물, 동물 등 우리 주변의거의 대부분이 원인이 됩니다.
치료 : 원인을 조사해 원인물질과 접촉하지 않도록 합니다. 피부증상에는 스테로이드외용제의 치료를 실시합니다.
증상이 가벼우면 스테로이드외용제로 치료할 수 있지만 원인물질의 독성이나 자극이 심할 때는 그 부분이 진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려움이 아주 심하기 때문에 긁거나 하면서 증상이 더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땀띠
특징 : 피부 표면근처에 땀이 차는 수정양한진, 즉 하얀 땀띠와 피부깊은 곳에 땀이 차는 홍색한진, 빨간 땀띠 두가지가 있습니다.
증상 : 수정양한진은 투명하거나 하얀 물집이 많이 생기며 가려움은 없습니다. 홍색한진은 빨갛고 작은 돌기가 생깁니다. 가려움 외에도 욱신욱신하거 찌릿찌릿한 느낌도 있습니다.
원인 : 때나 더러움으로 땀이 땀샘 출구에 막혀 피부 속에 쌓여 염증을 일으킵니다. 고온다습한 환경에서의 운동, 유열성 질환, 찜질, 붕대, 깁스, 반창고, 통기성이 나쁜 의류 등으로 발생합니다.
치료 : 수정양한진은 그냥 방치해도 자연스럽게 치유되지만 홍색한진은 스테로이드제제 치료를 해야합니다.
* 세제로 인한 손이 트는 질환
특징 : 물을 많이 사용하는 주부, 이미용사 등의 직업을 가진 사람등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증상 : 손가락 끝이나 손가락 안쪽이 빨갛게 되고 작은 돌기가 생깁니다. 악화되면 껍질이 벗겨져 지문이 없어지고 갈라지기도 합니다.
원인 : 세제나 물 등의 반복되는 자극을 받아 손가락 피부나 각질이 벗겨지고 다시 외부 자극을 받아 염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치료 : 가능하면 물을 만지는 일을 그만두고 보습제를 바릅니다. 물을 만질 때는 면 장갑을 끼고 그 위에 고무장갑을 낍니다.
갈라지거나 하는 경우에는 스테로이드제제로 지료합니다.
습진, 아토피, 접촉성피부염 등 피부질환과 특징
* 피부소양증
특징 : 발진 등 눈에 띄는 증상은 보이지 않고 가려움만 있습니다. 긁은 곳에 염증이 생기고 이차적으로 습진 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 : 가려움뿐이지만 전신 가려움이 있거나 외음부, 항문주위, 머리 등 일부분만 가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원인 :
건피증 : 피지분비가 감소해 피부가 건조해지면서 외부자극에 민감해져서 발생합니다. 특히 노화로 인한 건피증을 노인성피부소양증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한국성피부소양증 : 특히 중년이상의 여성에게서 많이 보이는 외음부, 중년이후 남성에게서 많이 보이는 항문부에 가려움이 있습니다.
범발성피부소양증 : 내장질환 등의 내인성 원인으로 전신 피부가 가려워집니다.
치료 : 가려움의 원인이 되는 질병이 있으면 그 질병치료가 최우선되야 합니다. 피부가 건조한 경우는 보습제를 바릅니다. 가려움이 심할때는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합니다. 긁어서 습진병변이 발생한 경우는 스테로이드제로 치료합니다.
* 가벼운 동상
특징 : 신체 일부가 추위나 동상으로 부풀어올라 단단해지거나 그 부분이 가렵고 뜨거워지는 듯한 감각이 있습니다.
증상 : 추위로 혈액순환이 나빠져서 생기는 염증으로 손, 손가락, 발에 발생하기 쉽고 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뺨, 코끝, 귓불도 걸리기 쉬운 부분입니다.
* 아토피 피부염
특징 : 좌우대칭으로 팔꿈치나 무릎안쪽에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심해지면 온몸으로 퍼지게 됩니다.
연령대에 따라 생기기 쉬운 부분과 증상이 달라집니다. 대부분은 사춘기전에 호전되지만 10~20%는 성인후에도 계속됩니다.
증상 : 유아기에는 볼에 발진이 생기면서 얼굴전체로 퍼지고 손발, 몸으로 확대됩니다. 연령과 함께 만성화되어 피부가 두꺼워지면서 거칠거칠해지면서 심한 가려움을 동반합니다.
원인 :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쉬운 체질에 환경자극이 더해져 발생하는 습진입니다.
* 지루성 피부염
특징 : 피지분비가 많은 지루부분에 생기는 습진입니다.
증상 : 두피나 머리카락 경계부분, 눈썹 등에 비듬이 생기고 빨개지고 가려워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해지면 엉켜서 커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인 : 호지성진균인 말라세티아 증식이 원인이 아닐까 생각되어집니다.
치료 : 스테로이드제제 치료가 일반적이지만 항진균제 투여의 경우도 있습니다. 유분을 함유한 헤어제품, 샴푸, 린스 등의 사용은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습진, 아토피, 접촉성피부염 등 피부질환과 특징
* 두드러기
특징 : 가려움과 함께 갑자기 피부가 빨개지면서 부풀어오릅니다. 가려운 곳을 긁으면 빨갛게 손톱자국이 생깁니다.
대부분은 몇시간 이내로 흔적을 남기지 않고 사라집니다. 하지만 1개월 이내로 낫는 것을 급성두드러기, 1개월이상 계속 되면 만성두드러기라 합니다.
증상 : 대부분은 가려움을 동반하지만 욱신거리는 통증과 타는 듯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인 : 가려움을 일으키는 히스타민이 어떤 자극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음식, 약품, 식물 등의 알레르기타입과 기계적 자극, 온도, 햇빛, 스트레스, 땀 등으로 인한 비알레르기성 타입이 있으며 전자는 급성, 후자는 만성의 경과를 보이게 됩니다.
치료 :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는 의사진찰이 필요합니다.
원인을 발견해 제거하지만 두드러기의 대부분은 원인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 대상포진
특징 : 신경을 따라 몸의 반에 심한 통증을 동반하고 물집이 띠 형태로 모이면서 생깁니다.
치료는 항바이러스제를 내복하고 통증이 심하면 소염진통제를 복용합니다.
* 건선
특징 : 머리나 팔꿈치, 무릎 등에 원형 또는 타원형 홍반이 생기고 그 위에 은백색 딱지가 생깁니다. 유전적인 요인도 관계있지만 외상, 약물,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 여러가지 유발요인이 더해져 생깁니다.
치료는 스테로이드외용제와 비타민D4연고를 바르거나 약을 바르거나 바른 후 자외선치료를 하는 광선요법 등의 치료가 행해집니다.
치료를 중지하면 재발하기 쉬우므로 끈기있게 치료를 계속해야 합니다.
* 무좀
특징 : 백선균이라는 진균이 발 피부에 감염되어 생깁니다. 발가락 사이가 벗겨지거나 작은 물집이 모인 것, 발바닥 전체가 두꺼워지거 갈라지는 등 여러가지 타입이 있습니다.
치료는 항진균제 외용이 기본이 되고 발톱 무좀이나 피부가 딱딱해지고 두꺼워지는 무좀은 항진균제 복용이 필요합니다.
* 입술헤르페스
특징 : 첫 감염에서는 발열을 동반한 입술 안쪽이나 입 속, 혀 등에 물집 등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시 감염되었을 때는 입술과 입 주변에 물집이 잡힙니다. 치료는 항바이러스약 복용과 외용을 동반하고 통증이 심하면 소염진통제를 복용합니다.
습진, 아토피, 접촉성피부염 등 피부질환과 특징
* 물사마귀
특징 : 동그랗고 매끈한 콩크기의 부드러운 돌기가 생기고 서서히 늘어나면서 퍼집니다. 1~6살사이의 유아기에 많이 나타나며 감염력이 강합니다.
증상 : 광택이 있는 1~5mm정도의 피부와 같은 색의 돌기가 전신에 나타납니다. 돌기 안은 보조개처럼 파여져 있습니다.
돌기를 짜면 하얀 비지 같은 것이 나오면서 낫습니다.
* 피부칸디다증
특징 : 칸디다라고 하는 진균의 감염으로 발생합니다. 겨드랑이 밑, 손발가락 사이, 사타구니안쪽, 유방 밑 등 통기성이 나쁜 부분에 감염되기 쉽고 칸디다성 기저귀피부염도 대표적입니다.
빨갛게 부풀어 오르고 물집 등이 생깁니다. 하얗고 얇은 껍질로 덮여 가려움이 동반됩니다.
습진, 아토피, 접촉성피부염 등 피부질환과 특징 , 이외에도 더 많은 종류가 있겠지만 가장 대표적인 몇가지 소개드렸습니다.